뮤지컬의 새로움을 느끼게 한 뮤지컬 넘버
<어쌔신> 발라디어의 넘버
<어쌔신>에서 발라디어의 노래는 기술적으로 어렵기도 하지만, 박자와 리듬, 음정은 둘째 치고, 기존의 뮤지컬 넘버들과는 굉장히 다르게 불러야 해서 독특하고 새로웠어요. 보통 뮤지컬에선 감정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노래가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선 감정 이입을 배제하고 오히려 이성적으로 불러야 했어요. 지금은 다양한 뮤지컬들이 많아졌지만, 처음엔 뮤지컬에서 이런 방식으로 노래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 무척 놀랍고 신기했죠.
.jpg)
여자 배역의 노래 중 꼭 불러보고 싶은 뮤지컬 넘버
<청년 장준하> ‘작은 꿈’
그냥 노래가 정말 좋아요!
개인적으로 감정 이입이 잘됐던 뮤지컬 넘버
<엣지스> ‘Become, Like a Breathing’
이 곡에는 제가 공연하던 당시는 물론이고 지금도 여전히 고민하는 것들과 그 해결 방법이 그대로 담겨 있어요. ‘그저 숨을 쉬듯 살자’는 말은 일상에서도 늘 생각날 정도로, 가사들이 공감을 불러일으켜요. 이 곡의 가사들을 잘 들어보면 눈물 난다니까요.
‘이런 곡이 있다니!’ 충격적이었던 뮤지컬 넘버
<레 미제라블> ‘One Day More’
지금 생각해보면 1막 엔딩곡의 전형적인 형식을 띠고 있지만, 고등학생 시절에 처음 들었을 때는 꽤 충격적이었어요. 웅장하고 힘이 넘치면서도 등장인물들의 스토리가 그 한 곡에 어우러지다니!
.jpg)
꼭 다시 불러보고 싶은 뮤지컬 넘버
<판타스틱스> ‘Try to Remember’
저는 처음에는 마트 역으로 이후에는 엘가로 역으로 이 작품에 참여했는데, 너무 어릴 때 이 노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공연했던 것 같아요. ‘Try to Remember’는 진짜 인생을 충분히 살아본 사람이 불렀을 때 멋지더라고요. 이 노래에선 음정과 기술, 그런 게 전혀 중요하지 않아요. 예전에 허클비 역으로 이 공연을 함께했던 최용민 선생님이 공연 외 행사 때 이 곡을 부르신 적이 있었는데 정말 멋있었어요. 기술적으로 잘 부른 것보다 그 곡에 담긴 의미가 충분히 전해져서 좋았죠. 저도 나중에 그 의미와 감성을 전달할 수 있을 때, 흰머리 신사가 돼 다시 불러보면 멋질 것 같아요.
현재 가장 꽂혀 있는 뮤지컬 넘버
<컴퍼니> ‘Being Alive’
요즘 이 곡, 가사가 좋아서 많이 듣고 있어요. 가사가 전하는 메시지가 함축적이고 중의적이에요. 극의 마지막에 결혼과 인생에 대해 많은 걸 생각하게 만드는 곡이죠.
* 본 기사는 월간 <더뮤지컬> 통권 제128호 2014년 5월호 게재기사입니다.
* 본 기사와 사진은 “더뮤지컬”이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으며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어길 시에는 민, 형사상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