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춤의 금기처럼 여겨지던 이 ‘말하는 공연’ 컨셉을 최근 가장 활발히 활용하고 있는 곳은 국립현대무용단이다. 지난해 ‘춤’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발레리나와 현대무용가, 비보이와 스트리트 댄서들을 한자리에 모았던 <춤이 말하다-크로스 컷(Cross Cut)>은 일반 관객에게 외국어처럼 느껴졌던 춤을 이해하기 쉽게 통역해준 이벤트였다. 무용단은 얼마 전에도 또 한 차례 이런 자리를 마련했다. 1970~80년대 한국 건축계의 역사적인 공간인 ‘공간 사옥’에 대한 이야기를 렉처 퍼포먼스 <우회공간>으로 푼 것. 사옥 내 소극장 ‘공간사랑’을 배경으로 시도됐던 1세대 현대무용가들의 혁신적인 실험은, 몸짓만이었다면 또 다시 불친절했을 테마를 강연이라는 보완재를 통해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했다. 이런 유연한 시도와 소통의 의지가 담긴 새로운 실험들은 일부 관객에게만 향유되던 춤을 더 많은 이들과 공유하는 발판이 된다.
<코펜하겐 해석을 위한 고양이 협주곡 C장조>
춤과 연극, 오페라 등을 넘나들며 안무 활동을 펼쳐온 안무가 박호빈이 자신이 이끄는 무용단과 함께 3년 만에 신작을 내놓는다. 춤에서는 이례적으로 ‘양자역학’을 소재로 삼은 이 작품은 상호작용을 한 입자들은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양자 얽힘’ 현상 등을 움직임으로 풀어냈다. 현대무용단으로서는 드물게 매년 30회 이상 활발히 공연하다 경영상의 이유로 잠시 숨을 돌렸던 댄스씨어터 까두는 이번 공연을 통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려고 한다. 박호빈은 이번에 작품의 배경과 안무에 대한 설명을 곁들여 공연 준비 과정을 또 하나의 공연으로 무대에 올리고, 9월에 완성된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8월 8일~9일 구로아트밸리 예술극장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드 다빈치의 명화 <최후의 만찬>을 모티프로 만든 공연이 무대에 오른다. 안무가 정의숙이 최후의 만찬 전날 하루를 재구성해 열두 제자들의 인간적인 번뇌와 고민을 담아낸 작품이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안무가와 영화감독 콤비가 완성한 복합 공연이라는 점이다. 영화 <주홍글씨>, <오감도>의 변혁 감독은 지난 2011년에도 정의숙과 짝을 이뤄 <윤이상을 만나다>를 선보였고, 그해 대한민국무용대전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아 좋은 성과도 거뒀다. 이번 공연에서도 두 사람은 안무와 음악, 영상과 미술이 어우러지는 총체적 라이브 향연으로 춤 공연의 영역 확장을 도모할 예정이다.
8월 26일~27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본 기사는 월간 <더뮤지컬> 통권 제131호 2014년 8월호 게재기사입니다.
* 본 기사와 사진은 “더뮤지컬”이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으며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어길 시에는 민, 형사상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